이번 시간에는 BERT: Pre-training of Deep Bidirectional Transformers for Language Understanding 논문을 리뷰합니다.
BERT는 등장과 동시에 Question Answering 등 다양한 NLP 문제들에 강력한 성능을 보여주며 NLP 분야에 한 획을 그었습니다.
위 그림은 bert 모델의 사용 추이를 나타낸 그래프입니다. 2022년 현재까지도 많은 논문에서 BERT 모델을 다루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처럼 BERT 모델은 최신 NLP 트렌드를 이해하기 위해서 필수라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그럼 BERT에 대해 함께 알아보도록 합시다!
Abstract
- 연구팀은 BERT(Bidirectional Encoder Representations from Transformers) 모델을 제시합니다.
- BERT는 Deep bidirectional representation 모델로 unlabeled text를 양방향으로 학습한 것이 특징 입니다. (ELMO와 GPT-1과의 주요한 차이점)
- 모델은 downstream task를 수행하기 위해 큰 모델 수정 없이 단지 하나의 출력 레이어를 추가하는 것으로 파인튜닝을 진행 할 수 있습니다.
- 특히 파인튜닝한 bert 모델은 11개 NLP Task에서 SOTA 성능을 달성 할 정도로 성능이 좋은 것이 특징입니다.
Introduction
최근 많은 NLP Task에서 pre-trained 모델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pre-trained 모델이 성능이 좋고 효율적이기 때문입니다.
pre-trained 언어 모델을 downstream-task에 적용하는 방법으로는 크게 두 가지가 있습니다.
바로 Feature based와 Fine Tuning입니다. 두 방법의 특징은 아래와 같습니다.
Feature based
- 어떤 특정 task를 해결하기 위한 architectures를 만들고, 여기에 pre-trained representations를 추가적인 feature로 제공하는 방법입니다.
- 대표적인 방법으로는 ELMO가 있습니다.
Fine Tuning
- 특정 task를 위한 파라미터는 최소한으로 두고, pre-trained parameter를 downstream task로 학습시키는 방식입니다.
- 대표적인 방법으로는 gpt-1이 있습니다.
위에서 언급한 ELMO와 GPT-1 모두 단방향 구조라는 공통점이 있습니다.
Q. ELMO 구조를 보면 양방향 아닌가요?
A. bi-LSTM 구조를 자세히 보면 left-to-right LSTM과 right-to-left LSTM이 결합되어 있습니다. 이 두개의 LSTM은 독립적으로 학습되어 결합되는데, 이는 근본적으로는 양방향이 아닌 단방향 모델이라 할 수 있습니다.
연구팀은 단방향 구조가 pre-trained 모델의 성능을 제한 한다고 생각하였습니다. 따라서 연구팀은 모든 레이어에서 양방향 학습을 할 수 있는 bert를 제안합니다.
이를 위해 bert에는 크게 두가지 학습 Task를 진행 합니다.
MLM(Masked Laguage Model)
기존 Language Model의 경우 주어진 단어 시퀀스를 통해 그 다음 단어를 예측하는 Task로 학습합니다. 하지만 이때 현재 입력 단어 이후의 단어들의 정보를 모델에게 알려줄 수 없습니다.(left-to-right, 단방향)
그에 반해 MLM(Masked Laguage Model)은 문장에서 무작위 토큰에 빈칸(MASK)을 해놓으면 빈칸(Mask)에 맞는 단어를 찾는 것이 목표로 합니다. Transformer encoder에 특정 토큰에 MASK 처리를 한 문장을 한번에 넣고 MASK 단어의 정답을 찾게 하도록 합니다. 이는 Mask 단어의 left, right context를 모두 활용해야 하므로 deep-bidirectional 학습을 가능하게 합니다.
NSP(Next Sentence Prediction)
두 개의 문장이 이어지는 문장인지 모델이 맞추도록 하는 Task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섹션에서 다시 살펴보겠습니다.
Model Architecture
BERT는 Transformer에서 Encoder 부분만을 사용하여 구성됩니다.
Transformer가 궁금하신 분은 Transformer 논문 리뷰를 참고해주세요!
연구팀은 BERT_base와 BERT_large로 나누어 모델을 구축하였습니다.
각 모델의 파라미터는 아래와 같습니다. L은 레이어의 개수, H는 히든 레이어의 크기, A는 self-attention의 head의 개수를 의미합니다.
- BERT_base: L=12, H=768, A=12, Total Parameter=110M
- BERT_large L=24, H=1024, A=16, Total Parameter=340M
이때 BERT-base는 OpenAI GPT와의 비교를 위해 같은 모델 사이즈를 채택하였습니다.
Input Representation
BERT의 입력은 세가지 임베딩이 더해져 구성됩니다.
-
Token Embedding
- 토큰에 WordPiece Embedding을 수행합니다.
- [CLS]는 문장의 시작을 의미하는 스페셜 토큰으로, 분류 Task에서 사용합니다.
- 문장의 구분을 의미하는 [SEP], MLM에서 Mask할 토큰을 의미하는 [MASK], 배치 데이터의 길이를 맞춰주기 위한 [PAD] 등의 토큰이 있습니다.
-
Segment Embedding
- 입력 문장 쌍에서 앞 문장에는 A embedding, 뒤의 문장에는 b embedding을 더해줍니다.
- 이때 더해주는 임베딩 값은 고정된 값입니다.
- 만약 입력 문장이 단일 문장일 경우에는 A embedding만 더해주면 됩니다.
-
Positional Embedding
- Transformer와 마찬가지로 Token의 위치 정보를 주입하기 위해 Positional Embedding을 더해줍니다.
Pre-Training
BERT는 2가지 pre-train 태스크를 수행합니다. 바로 앞서 살펴본 MLM(Masked LM)과 NSP(Next Sentence Prediction)입니다. 각각의 Task를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1. MLM(Masked Language Model)
본 연구에서 GPT나 ELMO가 가지는 단방향 학습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MLM을 도입하였습니다. 랜덤으로 토큰을 마스킹하여 모델이 해당 마스킹 된 토큰의 원래 단어를 맞추도록 하는 Task입니다.
MLM에 필요한 학습 데이터를 만드는 절차는 아래와 같습니다.
- 전체 학습 데이터 토큰의 15%을 마스킹 대상 토큰으로 선정합니다.
- 마스킹 대상 토큰 가운데 80%는 [Mask] 토큰으로 만듭니다. (my dog is hairy -> my dog is [MASK])
- 마스킹 대상 토큰 가운데 10%는 토큰을 그대로 둡니다. (my dog is hairy -> my dog is hairy)
- 마스킹 대상 토큰 가운데 10%는 토큰을 랜덤으로 다른 토큰으로 대체합니다. (my dog is hairy -> my dog is apple)
MLM은 마스킹 대상 토큰을 예측하는 pre-training task를 수행하게 됩니다.
Q. 왜 모든 마스킹 대상 토큰을 마스킹하지 않고 일부는 그대로 두거나 다른 단어로 바꾸나요?
A. [Mask] 토큰은 pre-train 과정에서만 사용하고, fine-tuning 과정에서는 사용하지 않습니다. 이는 두 과정 사이의 불일치(mismatch)를 유발하여 downstream task를 수행할 때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따라서 마스킹 대상 토큰을 랜덤으로 두거나 그대로 둬서 모델이 모든 단어 사이의 의미적, 문법적 관계를 세밀히 살필 수 있게 합니다.
2. NLP (Next Sentence Prediction)
Question Answering(QA)나 Natural Language Infrence(NLI)와 같은 Task에서는 두 문장 사이의 관계(Relationship)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하지만 기존 Languauge Model에서는 문장 사이의 관계를 학습시키기 어려웠습니다. 이를 해결하고자 BERT는 NSP를 통해 문장 사이의 관계를 모델이 이해할 수 있도록 합니다.
NSP에 필요한 학습 데이터를 만드는 절차는 아래와 같습니다.
- 모든 학습 데이터는 1건당 문장 두개로 구성된 문장 쌍으로 구성합니다.
- 학습 문장쌍 데이터 중 50%는 동일한 문서에서 실제 이어지는 문장쌍을 선정합니다. 정답 Label로는 참(IsNext)를 부여합니다.
- 나머지 50%는 서로 다른 문서에서 랜덤으로 뽑아 문장쌍을 구성합니다. (관계가 없는 문장 만들기) 정답 Label로는 거짓(NotNext)를 부여합니다.
이제 모델에서는 문장 쌍이 참(IsNext)인지 판별하는 Task를 수행하게 됩니다.
앞서 살펴본 BERT 구조를 보면, 맨 앞의 출력 토큰이 C입니다. 해당 C 토큰으로 문장 쌍이 참인지 판별하는 NSP Task를 수행하는 것입니다.
Pre-training Data
연구팀은 데이터셋으로 BookCorpus(800M Words)와 English Wikipedia(2500M Words)를 사용하였습니다.
이때 Wikipedia 데이터셋의 경우 표나 도표 등은 제외한 text passages만 사용했습니다. 또한 긴 문맥으로 학습하기 위해 Billion Word Benchmark처럼 섞인 문장으로 구성된 corpus를 사용했습니다.
Fine-tuning
이번에는 Bert 모델을 Fine-Tuning 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Bert 모델의 Fine-tuning은 비교적 단순합니다. Task에 알맞는 입력과 출력 데이터로 Bert 모델의 모든 파라미터를 end-to-end로 업데이트(파인튜닝)하면 됩니다. 이때 Token representation은 token level task (sequence tagging, QA 등)에 사용됩니다. 또한 [CLS] Representation은 Classification (entailment, sentiment analysis 등)에 사용됩니다. 아래 그림은 BERT의 파인튜닝 과정을 도식화한 것입니다.
파인튜닝은 프리트레인보다 적은 비용으로 학습을 진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실제로 후술할 실험에서도 연구팀은 대부분의 downstream task를 파인튜닝하는데 single Cloud TPU로 1시간 정도 밖에 소요되지 않았다고 합니다.
Experiments
연구팀은 11개의 NLP Task에 대하여 BERT 파인튜닝을 수행하였습니다.
- GLUE(General Language Understanding Evaluation)
- 모델의 자연어 이해 능력을 평가하기 위해 9가지 Task로 구성된 벤치마크입니다.
- GLUE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글을 참고해주세요.
- SQuAD (Stanford Question Answering Dataset)
- Wikipedia를 바탕으로 만든 질의응답(QA) Task 벤치마크입니다.
- 2.0은 1.1을 개선한 버전으로 문제를 보다 현실적으로 가공하였습니다.
- SWAG(Situations With Adversarial Generation)
- 앞 문장이 주어지고, 보기로 주어지는 4가지 보기 중에 가장 적절한 문장을 고르는 Task입니다.
결과는 아래와 같습니다.
BERT는 모든 Task에서 SOTA 성능을 달성합니다. 😊 (구글의 기술력은 도대체 어디까지…)
Ablation Studies
BERT는 MLM이나 NSP 등 다양한 요소를 모델에 적용하여 성능 향상을 이루어냈습니다. 연구팀은 BERT에서 어떤 요소가 성능 향상에 어떻게 기여했는지 구체적으로 알아보기 위해 Ablation study를 수행합니다.
Q. Ablation study가 뭐죠?
A. Ablation study는 모델이나 알고리즘을 구성하는 다양한 구성요소(component) 중 어떠한 “feature”를 제거할 때, 성능(performance)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는 방법을 말한다. (출처: https://sangminwoo.github.io/glossary/atod)
Effect of Pre-training Tasks
연구팀은 아래와 같은 모델로 기존 모델과 어떤 차이가 있는지 실험을 진행하였습니다.
- NO NSP
기존 모델에서 NSP를 제거합니다. - LTR(Left To Right) & NO NSP
기존 모델에서 MLM과 NSP를 제거합니다. - LTR(Left To Right) & NO NSP + BiLSTM
기존 모델에서 MLM과 NSP를 제거하고, 모델 위에 임의로 초기화된 BiLSTM을 추가합니다.
결과는 아래와 같습니다.
- NO NSP QNLI, MNLI 그리고 SQuAD 1.1 성능이 떨어졌습니다.
- LTR(Left To Right) & NO NSP
모든 Task에서 성능 저하가 발생하였으며, 특히 MRPC와 SquAD에서 큰 폭으로 성능이 떨어졌습니다. - LTR(Left To Right) & NO NSP + BiLSTM
BiLSTM을 추가했을 때 SQuAD의 성능이 향상하였습니다. 이는 양방향 학습이 QA와 같은 두 문장간의 관계가 중요시되는 Task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연구팀은 ELMO처럼 LTR과 RTL 모델 각각 학습하여 representation을 합치는 방식도 고려했습니다. 하지만 이 방법은 세 가지 문제점이 있다고 합니다.
- single bidirectional model보다 두 배의 계산량이 필요하다.
- RTL의 경우 질문에 대한 답을 판단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QA와 같은 Task의 경우에 직관적이지 않을 수 있습니다.
- 모든 레이어에서 왼쪽과 오른쪽 컨텍스트를 모두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deep bidirectional model에 비해 성능이 떨어집니다. (*)
(*)사실 세번째 문제점은 이해가 잘 되지 않아서 논문 원문도 같이 첨부합니다!
this it is strictly less powerful than a deep bidirectional model, since it can use both left and right context at every layer.
Effect of Model Size
연구팀은 모델 크기에 따른 파인튜닝 성능 차이도 알아보았습니다.
결과는 아래와 같습니다.
모델의 사이즈가 크면 클수록 좋은 성능을 보이고 있습니다. 또한 사이즈가 큰 모델은 small scale task에서도 좋은 성능을 보입니다.
Feature-based Approach with BERT
마지막으로 BERT를 Feature-based로 사용했을 때 성능을 분석하였습니다.
BERT를 Feature-based로 사용하면 다음과 같은 이점이 있습니다.
- Transformer Encoder 상에 모든 NLP Task를 적용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Feature-based 방식으로 task-specific model을 추가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 연산이 무거운 학습 데이터를 한번 pre-compute하여 representation을 생성하고, 이 위에 연산이 가벼운 모델을 사용하여 많은 실험을 수행하는 식으로 Computational Benefit을 얻을 수 있습니다.
또한 위 표에서 Concat Last Four Hidden의 경우 SOTA 모델인 Fine-tuning BERT Base와 0.3 F1밖에 차이나지 않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는 BERT가 Fine-tuning뿐만 아니라 Feature Based에서도 우수한 성능을 보여준다는 뜻입니다.
Conclusion
- Deep Bidirectional Model을 통해 같은 pre-train 모델로 모든 NLP Task에서 SOTA를 달성할 수 있었다.
- pre-train 모델을 통해 적은 resource로도 좋은 성능을 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