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시간에는 GPT-2 논문을 리뷰합니다. GPT-2는 GPT-1의 후속 모델로,이전 모델과 전체적인 구조는 비슷하나, 보다 더 크고 많은 학습 데이터와 파라미터로 성능을 높였습니다. GPT-1과 어떤 차이점이 있는지 위주로 논문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지금부터 GPT-2 논문 리뷰를 시작하겠습니다!
Abstract
- 연구팀은 명시적인 지도 학습 없이도(제로샷 학습) QA, 기계 번역 등을 수행할 수 있는 언어 모델을 제시함.
- 해당 언어 모델을 학습시킬 때 WebText라 불리는 수 백만개의 웹페이지 데이터를 사용함.
- 제로샷 학습과 모델 성능 향상에 있어서 언어 모델의 크기는 중요하다.
- 1.5B개의 파라미터를 가지는 GPT-2는 제로샷 학습으로도 대부분의 언어 모델링 데이터셋에서 SOTA 성능을 달성. 그럼에도 WebText 데이터셋에 여전히 underfit하다.
Introduction
최근 ML에서 많은 데이터 셋과 큰 사이즈의 모델을 지도 학습하여 좋은 성능을 보이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들 시스템들은 다루기 힘들고, 데이터 분산과 task의 약간의 변화에도 민감하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즉, competent generalists보다 narrow experts에 초점이 맞춰져 있습니다. ****
하지만 narrow experts를 학습 시키기 위해서는 충분하고 다양한 학습 데이터가 필요하나, 이들을 구하기는 쉽지 않습니다. 또한 조금만 Task나 데이터가 달라져도 제 성능을 발휘하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따라서 연구팀은 추가 학습 데이터가 없어도 다양한 Task를 수행할 수 있는 competent generalists, 즉 범용적인 모델을 제시하고자 합니다.
연구팀이 제안한 GPT-2 모델은 그 어떤 파라미터나 구조 변경 없이 제로샷 학습으로 다운스트림 Task를 수행할 수 있습니다.
Approach
Training Dataset
기존에는 Common Crawl이라는 웹 스크랩을 사용하였습니다. 이는 다양한 출처의 텍스트 데이터를 얻을 수 있었으나, 몇가지 문제가 있었습니다. 바로 상당수의 데이터가 이해할 수 없게(unintelligible) 구성되어 있다는 점입니다.
따라서 연구팀은 WebText라는 새로운 데이터셋을 구축하였습니다.
기존 Common Crawl과는 다르게 사람이 큐레이팅하고 필터링한 웹 페이지만을 포함하였습니다. 물론 이때 모든 링크를 사람이 검수하기에는 한계가 있습니다. 따라서 추천 3 이상을 받은 Reddit 글에서만 스크랩을 진행하였습니다.
이렇게 만들어진 데이터셋은 4천 5백만개의 링크로 이루어지며, 40기가 상당의 텍스트 데이터로 구성되었습니다. 이때 연구팀에 따르면 위키백과 데이터는 제거하였다고 합니다. 그 이유는 위키 백과는 다른 데이터셋에서도 많이 포함되어 실험과 변인 통제에 어려움이 생기기 때문입니다.
Input Representation
GPT-2에서는 Byte-level BPE를 사용하였습니다.
기존 BPE에서는 byte level이 아닌 Unicode code points(?)에서 동작하였습니다. 이는 모든 Unicode 문자열을 모델링하기 위해 Unicode symbol의 전체 크기 만큼을 필요로 합니다.
따라서 연구팀은 BPE 대신 Byte-level BPE를 사용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13만개의 Token 사전을 256개의 Token 사전으로 줄일 수 있었습니다. 또한 이는 모델이 어떤 종류의 전처리, 토큰화, 단어 사전 크기라도 모두 사용할 수 있게 합니다.
물론 Byte-level BPE의 문제도 있습니다. 바로 한정적인 사전 슬롯과 모델 크기를 비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문제입니다. 예를들어 dog이라는 단어에서 dog., dog!, dog?과 같이 다양한 변형을 가지게 되는 것입니다. 연구팀은 이를 해결하기 위해 BPE가 어떤 바이트 시퀀스로부터 문자 범주를 넘어 병합하지 못하도록 막았습니다.
Model
GPT-2는 기존 GPT-1 모델과 거의 유사한 구조를 사용하였습니다.
변경한 점은 아래와 같습니다. 하나씩 살펴보겠습니다.
- Layer Normalization
- Layer Normalization을 각 서브 블록의 입력으로 옮겼습니다. (pre-activation residual network와 유사)
- Additional Layer Normalization
- 추가적인 Layer Normalization을 마지막 self-attention 블록 뒤에 추가하였습니다.
- Modified Initialization
- N이 residual layer의 수라고 할 때, residual layer의 가중치에 1/sqrt(N)을 곱하였습니다.
- 단어 사전의 크기가 50257개로 커졌습니다.
- context size가 512 토큰에서 1024 토큰으로 늘어났습니다.
- 배치사이즈로 512로 더 커졌습니다.
Experiments
연구팀은 4가지 모델 사이즈를 사용하여 실험을 진행하였습니다. 아래 표는 4가지 모델 사이즈를 나타낸 것입니다.
모델 사이즈별로 각각 아래와 같은 특징이 있습니다.
- (117M) GPT-1과 동일한 사이즈.
- (345M) BERT 모델과 유사한 크기
- (1542M) 연구팀이 제시한 GPT-2 모델로 좋은 성능을 보여줌
이때 모든 사이즈의 모델 모두 underfit 된 것이 특징입니다. 즉, 더 오래 학습시키면 더 좋은 성능을 얻을 수 있을 것이라고 합니다.
Language Modeling
실험 결과는 아래와 같습니다. 대부분의 벤치마크에서 SOTA 성능을 보여주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때 모델은 파인튜닝을 거치지 않은 Zero-shot 학습 결과입니다.
Children’s Book Test (CBT)
다른 종류의 품사(동사, 명사, 전치사 등)에 대한 언어모델의 성능을 측정하기 위한 벤치마크입니다. 제거된 단어에 대해 10개의 답중 맞는 답을 고르는 방식의 Task입니다.
결과는 아래와 같습니다.
LAMBADA
모델이 장거리 의존성(long-range depedency) 역량을 평가합니다. 문장의 마지막 단어를 예측하는 Task입니다.
Winograd Schema Challenge
텍스트 속의 모호함(ambiguities)을 해석하여 모델의 상식적인 추론 역량을 평가합니다.
Reading Comprehension (CoQA)
7개 분야의 문서에서 질문자와 답변자로 구성된 대화 데이터셋입니다. 모델의 독해 능력과 과거 대화에 따른 답변 능력을 측정합니다.
GPT-2는 좋은 성능을 보였는데, 파인튜닝이 없어도 다른 모델들을 능가했다는 점이 주목해볼만 합니다.
Summarization
CNN과 Daily Mail dataset으로 모델의 텍스트 요약(Summarization) 능력을 평가하였습니다. 텍스트 요약에서는 기존 SOTA 모델 대비 좋은 성능을 보이지 못했습니다.
Translation
WMT-14 영어-프랑스어 데이터셋을 사용하여 평가를 진행했습니다. 번역 또한 SOTA 모델 대비 좋은 성능을 보이지 못했습니다. 연구팀은 그 이유로 모델을 학습시킨 WebText 데이터셋에서 영어가 아닌 웹페이지는 필터링해서 프랑스어가 10MB정도 남아있었다고 합니다. 그럼에도 이정도의 성능을 보인 것에 충분히 의미가 있다고 합니다.
Question Answering
SQuAD와 같은 QA Task에서 주로 사용하는 정확히 일치하는지(exact match metric) 에서는 4.1%의 정확도로 기존보다 5.3배 높은 정확도를 보였습니다. 하지만 작은 크기의 모델들은 정확도를 1%도 넘지 못하였는데, 이는 모델의 사이즈가 QA Task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가장 자신있는 질문 1%를 평가하는 Task에서는 63%의 정확도로, 기존 정보 검색과 문서 추출 기반 QA 시스템보다 약 30~50% 떨어지는 성능을 보였습니다. 아래 표는 GPT-2가 생성한 30개의 자신있는 질문들입니다.
Generalization vs Memorization
모델이 단순 암기(memorization) 하여 답을 내는 것은 일반화(generalization) 성능을 측정하는데 방해가 됩니다.
Computer Vision 분야에서 이미지 데이터셋 안에서 비슷한 이미지가 겹치는 경우가 있었다고 합니다. 그 예로, CIFAT-10은 Train과 Test 데이터 셋에서 3.3%의 이미지가 겹쳐 일반화(generalization) 성능이 과대평가되었다고 합니다. 연구팀은 이를 확인하기 위해 몇가지 실험을 추가로 진행하였습니다.
WebText training set 토큰에 대해 8-gram Bloom Filter를 만들어 실험을 진행하였습니다.
그 결과 WebText의 경우 겹침(overlap)이 적어 실험에 사용해도 괜찮다는 결론이 나왔습니다. 주목할 점은 기존 Dataset의 경우 겹침(overlap)이 높다는 사실입니다. 이처럼 텍스트 데이터의 중복을 방지하기 위해 연구팀은 중복 제거(de-duplication)에 기반한 n-gram overlap 방법을 추천한다고 합니다.
Memorization 정도를 측정하는 다른 방법으로 held-out set과의 성능 비교가 있습니다.
아래 표를 보면 두 set의 성능이 비슷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는 Memorization이 모델 성능 개선에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으며, 모델이 아직 underfit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Discussion & Conclusion
- 충분히 크고 다양한 데이터셋으로 학습한 언어 모델은 다양한 분야의 Task에서 좋은 성능을 보여준다.
- GPT-2의 제로샷 성능은 언어 모델링 데이터셋 8개 중에 7나 SOTA 성능을 보여주었다.
- 모델이 제로샷으로도 잘 동작한다는 것은 지도 학습 없이도 충분히 크고 다양한 데이터로 학습한다면 좋은 성능을 보일 수 있다는 것을 제시합니다.